Buccal Swab의 함정 – “뺨을 긁었는데 왜 다른 사람의 DNA가 나와요?”
- 유전자 검사 | 25. 11. 10

자, 1편과 2편을 통해 우리는 아래와 같은 학습을 했습니다.
- Germline 검사의 표준은 혈액이다.
- 단, 골수이식(BMT) 환자는 혈액이 100% 기증자(B)의 것이므로, 반드시 구강상피세포(A)를 써야 한다.
그래서 Buccal Swab kit를 이용해서 골수이식 환자의 뺨 안쪽을 긁었습니다.
그런데… 또 “키메라(Chimerism) 검출”이라는 안내를 받습니다.
“아니, 구강상피 세포는 100% 환자(A) 거라면서요! 이게 어떻게 된 일이죠?”
오늘은 이 구강 검체의 치명적인 함정과 완벽한 해결책을 알려드립니다.
🧐 함정: ‘세포’는 환자 것이지만 ‘검체’가 오염된다
환자(A)의 구강 상피세포 자체의 DNA는 100% 환자(A)의 것이 맞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검체(Sample)’라고 부르는 그 면봉 끝에는, 순수한 상피세포만 묻어 나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기증자(B)의 DNA가 섞여 들어가는 경로는 크게 3가지입니다.
1. 침(Saliva) 속의 ‘기증자’ 백혈구 (가장 흔함)
이게 핵심입니다. 우리 침(Saliva)은 그냥 물이 아닙니다. 혈액에서 유래한 수많은 백혈구(WBC)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앞서 학습한 대로 환자의 침 속에 떠다니는 백혈구는 100% 기증자(B)의 DNA를 가지고 있습니다.
면봉으로 뺨을 긁을 때, 이 ‘오염된 침’이 함께 묻어나면서,
[환자(A) 상피세포 90% + 기증자(B) 백혈구 10%] = 키메라 검출!
2. 구강 이식편대숙주병 (Oral GVHD)
더 심각한 경우입니다. GVHD는 기증자(B)의 면역세포가 “여기가 내 집이 아니네?”라며 환자(A)의 몸을 공격하는 무서운 합병증입니다. 이 때 입 안(구강 점막)은 매우 흔한 공격 타겟입니다.
이 상황은 단순히 침이 섞이는 수준이 아닙니다. 기증자(B)의 전투병(T세포)들이 환자(A)의 뺨 상피 조직 속으로 아예 ‘침투’해 들어가서 전쟁을 벌이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 때 뺨을 긁으면 어떻게 될까요?
[환자(A) 상피세포 + (그 안에 침투한) 기증자(B) 면역세포] = 강력한 키메라 검출!
3. 채취 시 발생하는 미세 출혈
“샘플을 확실하게!”라는 의욕이 앞서 면봉으로 뺨 안쪽을 너무 세게 문지르면(Scrape) 어떻게 될까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상처와 출혈이 발생합니다. 그 피는 기증자(B)의 피입니다.
[환자(A) 상피세포 + 기증자(B) 혈액] = 키메라 검출!
💡 해결책: “오염원을 씻어내고, 긁어내라”
환자(A)의 순수한 Germline DNA를 얻기 위한 ‘표준 샘플 채취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습니다.
- 채취 직전, ‘순수 물’로 입 헹구기 (필수!)
- 검사 직전, 다른 첨가물이 없는 깨끗한 물(가글액X)로 10~20초간 입안을 강하게 헹구기
- 이유: 침 속에 떠다니는 기증자(B)의 백혈구를 물리적으로 최대한 씻어내기 위함
- 솜면봉 보다는 Brush 형태 사용 (브러시 > 솜면봉)
- 일반 솜면봉 형태는 침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오염된 침’을 모으기 딱 좋음
- 가급적 사이토브러시(Cytobrush)라는 작은 솔 형태의 도구를 사용하세요. 이 도구는 침을 흡수하는 게 아니라, 뺨 점막의 상피세포 덩어리를 효과적으로 ‘긁어내는(Scrape)’ 데 특화되어 있음
- 젠틀하게, 하지만 단호하게
- 피가 날 정도로 빡빡 문지르지 않습니다. 뺨 안쪽을 적당한 압력으로 여러 번 긁어내어 세포 덩어리를 얻는 것이 목표!
🚨 플랜 C: 최후의 보루
만약 환자의 구강 GVHD가 너무 심해서 입안 전체가 전쟁터라면? 이때는 구강 검체마저 신뢰할 수 없습니다. 최후의 보루가 필요합니다. 이식의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A)의 피부 조직(Fibroblast)을 사용해야 합니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는 이처럼 ‘어떤 샘플을, 어떻게’ 채취하는지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검체 팁 시리즈를 모두 살펴보세요!
1️⃣ 유전자 검사에 활용되는 샘플 별 특징 – 혈액, 구강, DBS 완벽 비교
2️⃣ 골수이식과 수혈 환자, 왜 혈액이 불가능한가요?
3️⃣ Buccal Swab의 함정 – “뺨을 긁었는데 왜 다른 DNA가 나와?”
4️⃣ 검체 불량 1순위 – “EDTA에 담긴 혈액, 왜 굳어 버렸을까?”
포스트가 마음에 드셨나요?
유용한 포스트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해 보세요

Sookjin Lee
기술 및 시장 통합 전문가 | 글로벌 헬스케어 혁신 유전체 데이터 기반 의료 분야에서 15년 이상 경력을 쌓은 저는 좋은 기술을 시장 요구에 맞춰 영향력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전문 지식을 시장 눈높이에 맞춰 전달하고, 새로운 시장으로의 확장을 촉진하여 더 나은 삶을 살게 만들고자 합니다.





